# Content
Zotero 도입이후[^1] Literature Note가 짧은 아이디어를 요약하는 대신 출처와 인용을 기록하는 문서로 뒤바뀌는 문제를 경험했다. 이 제텔에서는 그 원인 분석과 함께 Literature Note의 의의를 재분석한다.
## 원인 분석
현재 독서에서부터 시작하는 Permanant Note의 가공 과정은 다음 3단계를 거친다.
1. 인덱스 카드에 기록
2. **Zotero에 기록 내용을 옮기기**
3. Permanent Note작성하기
Zotero 도입 후 기존 1, 3 단계의 단순한 공정에 2번을 추가하면서 같은 내용을 다른 매체에 중복 기입해야 했고, 그로 인해 자연스레 발상을 Permanent Note로 가공하는 시기가 기존 공정보다 늦어졌다. 결국 Permanent Note를 작성할 당시에 원본 서적을 재독하는 대신 보다 쉽게 원본 출처를 인용하려다 보니 점차 Literature Note에 원서 인용구를 그대로 적어두는 식으로 작업 과정이 변질되었다.
**더 큰 문제는 결국 Literature Note에서 아이디어가 사라지고 인용만 남으면서 Peramanent Note 작성 과정에서 다시 원서를 정독하며 사실상 1의 과정을 되풀이해야 했다는 점이다.**
## Literature Note의 의의
Literature Note와 Reference Note는 본래 니콜라스 루만의 방법론에 존재하는 구분 방식이 아니라 후속 연구에서 추가된 메모 종류다. 원본은 메인 박스와 구별되는 서지 정보 상자Bibliography Box에 보관하는 서지 정보 메모이며, 이 메모의 뒷면에 서지 정보를, 앞면에 페이지와 아이디어를 짧게 기록하는 방식으로 루만은 메인 박스로 가공하기 전의 아이디어를 기록했다.
**물리적인 메모 상자와 인덱스 카드를 사용하던 루만의 방식에서는 메모의 확장이 계층적으로 발생한다.** 즉, 고유 식별자의 후속 메모를 추가할 때 메모의 내용에 따라 걸맞은 식별자로 확장하며 기존 메모의 '뒤에' 끼워넣는 방식이 가능했다. 예를 들어 1ca1의 후속 근거 관련 메모는 1ca2, 그 보다 상위레벨에서 파생할 수 있는 소주제는 1cb1이라는 식으로 확장에 자유도를 줄 수 있었다.
![[Zettel_Example.png]]
반면 소프트웨어 구현, 특히 현재 Obsidian의 구현에서는 두 가지 차이점이 있다.
1. Bibliography Box와 Main Box는폴더로 구별할 수 있지만 그래프 상에서 같은 Depth에 존재한다.
2. 식별자 대신 고유 노드로 하이퍼링크를 구현하므로, 구조 확장이 쉬운 대신 임의 식별자 자체에 의미를 부여하는 식의 구별법이 어려워진다. (루만의 식별방식을 사용하면 소프트웨어 구현의 장점을 일부 잃어버린다.)
이번 문제는 Literature Note의 작성 방식을 단순히 이전으로 되돌리면 해결할 수 있는 문제다. 하지만 루만과 현대적 구분 방식에 왜 차이가 생겼는지 분석할 수 있었던 경험은 저자의 ZettelKasten을 발전시키는데 큰 의의를 주었다. 다음 두 문단에서는 ZettelKasten의 발전을 위해 시도할 수 있는 방법들을 서술했다.
### hub note에 대한 이해 심화 및 시도
이전의 이해 수준으로는 hub note가 사고 과정을 검색으로 귀결시키는 카테고리와 태그별 구분법과 닮아 있다고 생각해 의도적으로 배제했다. 그러나 같은 Depth를 공유하는 현대식 구현 그래프에서 '사고의 지름길'을 만들 수 있다는 점을 새로 발견했다. 따라서 일종의 Topic Hub를 작성하여 사용성을 높이는 실험을 진행할 것이다.
### Literature Note의 일방향 그래프 구조 유지하기
현재 Zotero에서부터 넘어온 Literature Note는 일방향, 기존 Peramanent Note는 양방향 그래프로 구성 중이다. 해당 방식은 그래프 뷰에서 완독한 책을 정리할 때 해당하는 Note들을 추출할 수 있고, 다른 아이디어와 함께 보고 싶을 때 Literature Note를 배제하고 읽어들이는 방식으로 아이디어의 가독성을 강화할 수 있었다. 이 부분은 현재 만족스럽게 이용하고 있고 또 현대식 구현의 이점을 최대한으로 살릴 수 있다는 사실을 확인했으므로 그대로 유지하기로 한다.
- - -
## Reference
- [[H-제텔카스텐에 관한 연구]]
- [[ZettelKasten 관리법 변경 - Zotero 도입]]
- - -
[^1]: [[ZettelKasten 관리법 변경 - Zotero 도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