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ancer staging은 암의 크기와 확산 정도를 평가하는 표준화된 방법으로, 치료 계획을 세우고 예후를 예측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 ## 1. Cancer Staging이란? **Cancer staging**은 암의 진행 정도를 평가하는 과정으로, **primary tumor**의 크기, 주변 조직으로의 침입 여부, 그리고 **lymph nodes**나 다른 장기로의 확산 정도를 파악합니다. 이는 치료 방법을 결정하고 환자의 **prognosis**(예후)를 예측하며, 의료진 간의 의사소통을 용이하게 하는 데 필수적입니다. --- [[TNM staging]] ## 2. TNM Staging System 가장 널리 사용되는 staging 시스템은 **TNM system**으로, American Joint Committee on Cancer (AJCC)와 Union for International Cancer Control (UICC)에서 개발했습니다. 이 시스템은 세 가지 주요 요소를 평가합니다: ### a. T (Tumor) **Primary tumor**의 크기와 지역적 확산 정도를 나타냅니다. - **T0**: 원발성 종양의 증거 없음. - **T1-T4**: 종양의 크기 증가 또는 주변 구조물로의 침입 정도를 의미. (암 종류에 따라 기준 상이) - 예: **Breast cancer** - **T1**: 종양 크기 ≤ 2 cm. - **T2**: 종양 크기 > 2 cm, ≤ 5 cm. - **T3**: 종양 크기 > 5 cm. - **T4**: 크기와 관계없이 흉벽이나 피부로 직접 확산. ### b. N (Nodes) 암이 주변 **lymph nodes**(림프절)로 확산되었는지 여부를 나타냅니다. - **N0**: 지역 림프절 침범 없음. - **N1-N3**: 림프절 침범의 수와 범위 증가. (암 종류에 따라 정의 상이) - 예: **Colorectal cancer** - **N1**: 1-3개의 지역 림프절에 전이. - **N2**: 4개 이상의 지역 림프절에 전이. ### c. M (Metastasis) 암이 먼 장기나 조직으로 **metastasis**(전이)되었는지 여부를 나타냅니다. - **M0**: 원격 전이 없음. - **M1**: 원격 전이 존재 (예: 폐, 간, 뼈). --- ## 3. Stage Grouping **TNM** 정보를 조합하여 암을 **Stage I-IV**로 분류합니다: - **Stage I**: 초기 단계로, 작은 종양(T1 또는 T2), 림프절 미침범(N0), 원격 전이 없음(M0). - **Stage II**: 더 큰 종양 또는 제한된 림프절 침범, 원격 전이 없음. - **Stage III**: 국소적 또는 지역적 확산이 심화됨, 원격 전이 없음. - **Stage IV**: 원격 전이(M1) 존재, T와 N 상태와 무관. 이 분류는 암의 진행 단계를 단순화하여 치료 방향을 설정하는 데 사용됩니다. --- ## 4. 특정 암의 Staging 예시 암 종류에 따라 staging 기준이 약간 다릅니다. 두 가지 예시는 다음과 같습니다: ### a. Breast Cancer - **T**: 종양 크기와 국소 침범 기준. - **N**: 침범된 림프절의 수와 위치 기준. - **M**: 원격 전이 여부 (예: 뼈, 폐). - 예: 3 cm 종양, 림프절 미침범, 전이 없음 → **T2 N0 M0** (보통 Stage II). ### b. Colorectal Cancer - **T**: 종양이 대장 벽을 얼마나 침범했는지 기준. - **N**: 지역 림프절 침범 수 기준. - **M**: 원격 전이 여부 (예: 간). - 예: 대장 벽 관통 종양(T3), 2개 림프절 침범(N1), 원격 전이 없음(M0) → **Stage III**. --- ## 5. Clinical vs. Pathological Staging Staging은 시점과 정보에 따라 두 가지로 나뉩니다: - **Clinical Staging**: 치료 전, 신체 검사, 영상 검사(CT, MRI 등), 생검으로 결정. 초기 치료 계획 수립에 사용. - **Pathological Staging**: 수술 중 발견된 소견과 제거된 조직 분석으로 결정. 더 정확하며 초기 단계를 조정할 수 있음. 치료 후 추가 정보가 확인되면 staging이 갱신될 수 있습니다. --- ## 6. 치료 및 예후에 대한 영향 Cancer stage는 치료법과 예후에 큰 영향을 미칩니다: - **초기 단계 (Stage I-II)**: 국소 치료(수술, 방사선)로 치료 가능, 예후 양호. - **진행 단계 (Stage III-IV)**: 수술, 화학요법, 방사선, 표적 치료 등 복합 요법 필요. 특히 Stage IV는 예후가 좋지 않음. Staging은 환자 간 치료 결과 비교와 연구에도 기여합니다. --- ## 결론 **Cancer staging**은 암의 범위와 확산을 체계적으로 평가하여 치료 전략을 세우고 예후를 예측하는 핵심 도구입니다. **TNM system**과 **stage grouping**은 이를 위한 표준화된 접근법으로, 암 관리에서 일관성과 명확성을 보장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