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세포자살 (Apoptosis) 세포자살(Apoptosis)은 '계획된 세포 사멸(Programmed Cell Death)'의 한 형태로, 우리 몸이 불필요하거나 손상된 세포를 스스로 제거하는 정상적인 생리 과정입니다. 이는 개체의 발생, 조직의 항상성 유지, 비정상적인 세포 제거에 필수적입니다. ## 특징 - **능동적 과정**: 세포가 유전적 프로그램에 따라 스스로 에너지를 사용하여 죽는 과정입니다. - **염증 반응 없음**: 세포 내용물이 밖으로 유출되지 않고, 주변 세포에 의해 깔끔하게 처리되므로 염증 반응을 유발하지 않습니다. (괴사(Necrosis)와의 차이점) - **형태학적 변화**: 세포가 수축하고, 염색질이 응축되며, 세포막이 변형되어 '아폽토시스 소체(apoptotic body)'를 형성합니다. ## 암과의 관계 암세포는 세포자살 신호를 회피하는 능력을 획득하여 죽지 않고 무한히 증식하는 특징을 가집니다. 이는 [[종양억제유전자 (Tumor Suppressor Gene)|종양억제유전자]](예: p53)의 기능 상실이나, 세포자살을 억제하는 단백질(예: Bcl-2)의 과발현 등과 관련이 있습니다. ## 치료에의 응용 많은 항암 치료법이 암세포의 세포자살을 유도하는 원리를 이용합니다. - **[[항암화학요법 (Chemotherapy)]]** 및 **[[방사선치료 (Radiation Therapy)]]**: DNA에 심각한 손상을 입혀 세포자살 경로를 활성화시킵니다. - **[[표적치료 (Targeted Therapy)]]**: 특정 [[암유전자 (Oncogene)|암유전자]]의 신호를 차단하거나, 세포자살을 억제하는 단백질을 직접 표적으로 하여 세포자살을 유도합니다. ## 관련 문서 - [[악성 종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