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심정지]] [[ACLS guideline]] [[Obsidian-blog/심폐소생술]] 심정지의 위험 요소를 설명하는 데 사용되는 "5C 5S"는 주로 심폐소생술(CPR)이나 심정지 관리 관련 상황에서 언급될 수 있습니다. [[심장]] --- ### 5C (Cardiac Arrest 관련 주요 요인): 1. **Coronary (관상동맥 질환)**: 심장병, 특히 관상동맥 질환은 심정지의 주요 원인 중 하나입니다. 2. **Congenital (선천적 심장질환)**: 선천적으로 심장에 문제가 있는 경우 심정지 위험이 증가합니다. 3. **Cardiomyopathy (심근병증)**: 심장근육의 비대나 약화가 심정지를 유발할 수 있습니다. 4. **Conductivity (전도 장애)**: 부정맥이나 전도 계통의 이상으로 심장 박동이 불규칙해질 수 있습니다. 5. **Conditions (기타 전신 상태)**: 폐색전증, 전해질 이상, 심한 저산소증 등이 심정지의 원인이 될 수 있습니다. ### 5T (Treatable Causes of Cardiac Arrest): 1. **Tension Pneumothorax (긴장성 기흉)** - 흉부 외상이나 기계적 환기 중 압력 증가로 인해 심장이 제대로 펌핑하지 못하게 되는 상태. 2. **Tamponade, Cardiac (심장 압전)** - 심낭에 액체가 축적되어 심장이 수축하지 못하게 되는 상태. 3. **Toxins (독성 물질)** - 약물 과다 복용이나 독성 물질 중독으로 심장 기능이 억제되는 경우. 4. **Thrombosis, Pulmonary (폐혈전증)** - 폐동맥을 막는 혈전으로 인해 심장이 산소를 충분히 공급받지 못하는 상태. 5. **Thrombosis, Coronary (관상동맥 혈전증)** - 심장동맥의 혈전으로 인해 심근경색이 발생하고 심정지가 유발될 수 있음. ### 5H 1. Hypovolemia (저혈량) 2. Hypoxia (저산소증) 3. Hydrogen ion (Acidosis; 산증) 4. Hyper-/Hypokalemia (고칼륨혈증/저칼륨혈증) 5. Hypothermia (저체온증) ### 5S (응급 상황에서 위험을 평가하는 요인): 1. **Shock (쇼크)**: 순환 부전으로 심장이 제대로 기능하지 못하는 상태. 2. **Syncope (실신)**: 갑작스러운 의식 상실은 심정지의 전조일 수 있습니다. 3. **Shortness of Breath (호흡곤란)**: 급성 심부전이나 폐혈전증과 관련된 증상. 4. **Sudden Chest Pain (갑작스러운 흉통)**: 심근경색 등 심정지와 관련된 주요 증상. 5. **Sweating (땀)**: 교감신경계 반응으로 심각한 상태의 신호일 수 있습니다. 이 요인들은 심정지 관리나 예방에 중요한 요소입니다. 의료적 상황에서 사용되는 용어가 다를 수 있으니, 심정지 관련 교육 자료나 가이드라인을 참고하는 것도 좋습니다. 추가 질문이 있으면 알려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