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총단백에 대한 의학 문서 ### 정의 총단백(total protein)은 혈액 내 존재하는 모든 단백질의 총량을 의미합니다. 혈장 내에는 다양한 단백질이 존재하지만, 가장 중요한 두 가지는 알부민(albumin)과 글로불린(globulin)입니다. 이 두 종류의 단백질은 각각 다양한 기능을 가지고 있으며, 인체의 정상적인 기능 유지를 위해 필수적입니다. ### 생리적 역할 1. **알부민(Albumin)**: 혈장 단백질의 약 60%를 차지하며, 체내에서 삼투압 조절과 영양소 운반에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또한 약물이나 호르몬 등의 물질을 운반합니다. 2. **글로불린(Globulin)**: 면역체계에서 중요한 역할을 하는 항체를 포함하고 있으며, 철분 및 지질 운반에 기여합니다. ### 총단백 검사 총단백 검사는 주로 다음과 같은 경우에 수행됩니다: - 영양 상태 평가 - 간 및 신장 질환 진단 - 감염 및 염증성 질환 모니터링 #### 정상 범위 일반적으로 혈청 내 총단백 농도의 정상 범위는 6.0 - 8.3 g/dL 입니다. ### 이상 소견의 해석 1. **총단백 증가**: - 탈수(dehydration) - 만성 염증성 질환(chronic inflammatory diseases) - 다발성 골수종(multiple myeloma) 2. **총단백 감소**: - 간 질환(liver disease) - 신장 증후군(nephrotic syndrome) - 영양 결핍(malnutrition) - 장 흡수 장애(malabsorption syndromes) ### 임상적 중요성 총단백 농도의 변화는 여러 병리적 상태와 연관될 수 있어 임상적으로 매우 중요합니다. 특히 알부민과 글로불린의 비율(A/G ratio)이 변화할 경우 추가적인 검사를 통해 원인을 규명해야 합니다. ### 결론 총단백 검사는 간단하면서도 인체의 건강 상태를 평가하는 데 있어 매우 유용한 진단 도구입니다. 이를 통해 조기에 다양한 질병을 발견하고 적절한 조치를 취할 수 있습니다. 각 환자의 개별적인 상황에 맞춘 해석이 필요하며, 다른 임상적 정보와 함께 종합적으로 판단해야 정확한 진단이 가능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