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개요 - **빌리루빈 정의** - 적혈구 파괴 과정에서 생성되는 노란색 색소 - 간에서 처리되어 체외로 배출됨 - **의의** - 간 기능 평가 - 적혈구 파괴 상태 평가 - **구분** - 총 빌리루빈 - 직접 빌리루빈 - 간접 빌리루빈 ### 총빌리루빈 - **정의** - 혈액 내 모든 형태의 빌리루빈 합계 - 직접 빌리루빈 + 간접 빌리루빈 - **정상 범위** - 0.3 ~ 1.2 mg/dL - **의학적 의미** - 간 기능 평가 - 적혈구 파괴 속도 반영 - 담즙 배출 상태 확인 - **임상적 활용** - 간질환 진단 - 용혈성 질환 평가 - 담도 폐쇄 여부 확인 ### 직접빌리루빈 - **정의** - 수용성 형태의 빌리루빈 - 간에서 글루쿠론산과 결합하여 담즙으로 배출 준비된 상태 - **정상 범위** - 0.1 ~ 0.3 mg/dL - **비율** - 총 빌리루빈의 약 20% - **의학적 의미** - 간세포 손상 여부 - 담도 폐쇄 의심 - 간염 및 담즙산 대사 장애 평가 - **임상적 활용** - 간의 배설 기능 평가 - 담도계 상태 진단 ### 간접빌리루빈 - **정의** - 비수용성 형태의 빌리루빈 - 간에서 직접 빌리루빈으로 전환되기 전 상태 - **정상 범위** - 0.2 ~ 0.8 mg/dL - **비율** - 총 빌리루빈의 약 80% - **의학적 의미** - 용혈성 빈혈 의심 - 간의 빌리루빈 처리 능력 저하 - 간경변 등 간 기능 저하 상태 - **임상적 활용** - 빌리루빈 전환 과정 문제 진단 - 간 기능 평가 ### 추가 정보 - **황달 증상** - 피부 및 안구 흰자위의 황색 변색 - **검사 중요성** - 정확한 진단을 위한 총, 직접, 간접 빌리루빈 수치 종합 평가 - 정기적 혈액 검사 통한 모니터링 - **치료 및 관리** - 조기 발견을 통한 적절한 치료 - 간 및 혈액 질환 관리에 기여 ### 결론 - 빌리루빈 수치는 간 기능 및 적혈구 파괴 상태를 평가하는 중요한 지표 - 총, 직접, 간접 빌리루빈의 종합적 분석이 필수적 - 정기적인 검사를 통해 다양한 질환의 조기 발견 및 관리 가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