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T]]
# 복부 CT (Computed Tomography)
## 개요
복부 CT(Computed Tomography)는 복부 및 골반 부위를 상세하게 촬영하기 위해 사용되는 의료 영상 기술이다. 이 기술은 여러 각도에서 획득한 X선 영상을 컴퓨터로 조합하여 신체 내부의 단면 이미지를 생성하므로, 전통적인 X선 촬영에 비해 훨씬 높은 해상도를 제공한다. 복부 CT는 다양한 복부 질환의 진단, 치료 계획 수립 및 치료 효과 평가에 필수적인 도구로 널리 사용되고 있다.
## 적응증
복부 CT는 다음과 같은 여러 상황에서 적응증을 가진다:
1. **종양**: 간, 신장, 췌장, 비장 등의 종양을 평가하고, 전이 여부를 확인하는 데 사용된다.
2. **염증성 질환**: 충수염(Appendicitis), 게실염(Diverticulitis), 췌장염(Pancreatitis) 등의 염증 상태를 진단하는 데 유용하다.
3. **외상**: 복부 외상의 경우 장기 손상 여부를 확인하기 위해 사용된다.
4. **혈관질환**: 대동맥류(Aneurysm)나 혈전(Thrombosis) 등 혈관 상태를 평가하는 데 도움을 준다.
5. **기타**: 장폐색이나 복수(Ascites) 등 기타 다양한 병리적 상태의 평가에도 사용된다.
## 생물학적 기전
복부 CT의 작동 원리는 다음과 같다:
1. **X선 발생**: X선 튜브가 고속으로 회전하면서 대상 부위에 X선을 방출한다.
2. **검출기 배열**: 환자의 반대편에 위치한 검출기가 X선을 감지하여 디지털 신호로 변환한다.
3. **이미지 재구성**: 수집된 데이터는 컴퓨터 알고리즘을 통해 단층 이미지(Slice Image)로 재구성되며, 이를 통해 3차원 구조를 형성하게 된다.
CT 스캔 과정에서 신체 조직은 서로 다른 밀도와 흡수 계수를 갖고 있어 서로 다른 정도의 X선을 흡수한다. 이 차이를 활용해 내부 장기의 구조적 특성을 시각화할 수 있다.
## 절차
복부 CT 스캔 절차는 대개 다음과 같이 진행된다:
1. 환자는 검사 테이블 위에 눕게 되며, 필요시 조영제(Contrast Agent)를 주사하여 혈관이나 특정 조직을 더욱 명확히 보이도록 한다.
2. 테이블이 스캐너 안으로 이동하며 여러 방향에서 스캔이 이루어진다.
3. 검사가 완료되면 환자는 테이블에서 내려와 정상적인 활동으로 돌아갈 수 있으며 결과 분석은 방사선과 전문의가 수행한다.
## 장점과 한계
### 장점
- 높은 해상도의 이미지 제공으로 정확한 진단 가능
- 비침습적이며 비교적 빠른 검사 시간
- 다양한 질환에 대한 광범위한 정보 제공
### 한계
- 방사선 노출 위험이 존재하여 반복 검사 시 주의 필요
- 조영제 사용 시 알레르기 반응 가능성
## 결론
복부 CT는 현대 의학에서 매우 중요한 진단 도구로 자리잡고 있으며, 복잡한 복부 질환의 정확한 진단 및 치료 관리에 큰 기여를 하고 있다. 그러나 방사선 노출 및 조영제 관련 부작용 등의 위험 요소도 존재하므로 필요 시 전문가와 충분히 상의 후 시행해야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