보체(Complement)는 선천 면역계의 중요한 구성 요소로, 병원체를 제거하고 염증 반응을 조절하는 데 기여합니다. 보체 시스템은 활성화 경로에 따라 세 가지로 나뉘며(고전 경로, 대체 경로, 렉틴 경로), 각각의 경로에서 C3, C4와 같은 보체 단백질이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보체 검사는 이러한 단백질의 농도를 측정하여 자가면역질환, 감염성 질환, 염증성 질환 등의 진단 및 평가에 사용됩니다. --- ### C3 **C3**는 보체 시스템에서 중심적인 역할을 담당하는 단백질로, 고전 경로와 대체 경로 모두에서 활성화됩니다. #### 주요 의학적 의의 1. **감소(C3 감소)** - **자가면역질환**: 전신홍반루푸스(Systemic Lupus Erythematosus, SLE), 사구체신염(Glomerulonephritis) 등에서 보체 소비로 인해 C3 수치가 감소할 수 있습니다. - **감염성 질환**: 보체 활성화가 과도하게 일어나는 감염성 상태에서도 C3 감소가 관찰됩니다. 2. **증가(C3 증가)** - **급성 염증 반응**: C3는 급성기 단백질로, 염증 반응이나 감염 상태에서 증가할 수 있습니다. - **대사성 질환**: 비만, 당뇨병, 대사증후군 등에서도 C3 수치 증가가 보고된 바 있습니다. #### 정상 범위 - 성인 기준: 90-180 mg/dL (검사 기관에 따라 다를 수 있음) --- ### C4 **C4**는 주로 고전 경로 및 렉틴 경로에서 활성화되는 보체 단백질로, 자가면역질환의 진단 및 병태 생리 이해에 중요한 정보를 제공합니다. #### 주요 의학적 의의 1. **감소(C4 감소)** - **자가면역질환**: 전신홍반루푸스(SLE), 면역복합체가 관여하는 질환에서 보체 소비 증가로 인해 C4 수치가 낮아질 수 있습니다. - **유전적 결핍**: C4 결핍은 유전적으로 발생할 수 있으며, 반복적인 감염 및 자가면역질환 발생 위험이 높습니다. 2. **증가(C4 증가)** - **염증 반응**: 감염 또는 염증 상태에서 C4 수치가 상승할 수 있습니다. #### 정상 범위 - 성인 기준: 10-40 mg/dL (검사 기관에 따라 다를 수 있음) --- ### 보체 검사 해석의 주의사항 1. **임상적 상황 고려** - C3 및 C4는 다양한 질환에서 변화할 수 있으므로, 단일 검사 결과만으로 진단하지 않습니다. - 자가항체 검사(예: ANA, Anti-dsDNA) 등과 병행하여 평가합니다. 2. **검사 조건** - 급성 감염, 최근 약물 복용, 심한 스트레스 등의 상황은 보체 농도에 영향을 미칠 수 있으므로 결과 해석 시 주의가 필요합니다. 3. **보체 기능 검사** - CH50 또는 AH50 검사를 추가로 시행하여 전체 보체 활성도를 평가할 수 있습니다. 보체 검사는 신체의 면역 및 염증 상태를 평가하는 데 중요한 정보를 제공하며, 특히 자가면역질환의 진단 및 치료 모니터링에서 유용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