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의료 문서: 방광(Bladder)**
**개요**
방광(Bladder)은 소변을 저장하는 역할을 하는 근육성 장기입니다. 골반 안에 위치하며, 신장에서 생산된 소변이 요관(Ureter)을 통해 이동하여 방광에 저장된 후, 요도를 통해 배출됩니다.
**해부학적 구조**
방광은 주로 세 가지 주요 층으로 이루어져 있습니다:
1. **점막층(Mucosa)**: 방광의 가장 안쪽 층으로, 비뇨기 상피(Urothelium)로 덮여 있어 소변이 방광 벽에 직접적으로 닿는 것을 방지합니다.
2. **근육층(Muscle layer, Detrusor muscle)**: 방광의 중간층은 평활근(Smooth muscle)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소변을 배출할 때 수축하여 소변이 몸 밖으로 배출되도록 돕습니다.
3. **바깥막층(Adventitia or Serosa)**: 방광의 바깥을 둘러싼 결합 조직으로, 방광을 주변 구조물에 부착시키는 역할을 합니다.
**기능**
방광의 주요 기능은 소변을 저장하고 배출하는 것입니다. 방광이 소변으로 가득 차면, 벽에 위치한 감각 신경들이 중추 신경계로 신호를 보내 배뇨의 필요성을 알립니다. 뇌에서 신호가 되돌아와 방광 근육이 수축하고, 방광 경부(Bladder neck) 및 외부 요도 괄약근(External urethral sphincter)이 이완하여 소변이 배출됩니다.
**주요 질환**
1. **방광염(Cystitis)**: 주로 세균 감염에 의해 발생하는 방광의 염증으로, 배뇨 시 통증이나 빈뇨(Frequency)를 유발할 수 있습니다.
2. **과민성 방광(Overactive Bladder)**: 빈뇨 및 절박뇨(Urgency)를 특징으로 하며, 생활의 질을 저하시킬 수 있는 상태입니다.
3. **방광암(Bladder Cancer)**: 방광의 악성 종양으로, 초기 발견 시 수술 및 화학 요법으로 치료가 가능합니다.
**진단 및 치료**
방광의 질환들은 다양한 진단 기법을 통해 평가됩니다. 소변 검사(Urinalysis), 방광경 검사(Cystoscopy), 및 영상 검사(Imaging studies)는 방광 기능과 상태를 평가하는 데 사용됩니다. 치료는 질환의 원인 및 정도에 따라 항생제(Antibiotics), 근육 이완제(Antimuscarinics) 또는 수술(Surgery) 등의 방법을 포함할 수 있습니다.
방광 건강을 유지하기 위해 충분한 수분 섭취와 규칙적인 배뇨 습관이 중요합니다. 이상 증상이 나타날 경우, 전문 의료진의 진료를 받는 것이 권장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