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ittergeek_male_futuristic_firefighter_34_profile_wearing_futur_df62a6f8-e6b7-423c-afc9-3a5ca8999a34.png]]
강원특별자치도 소방본부장(Commissioner of Gangwon Special Self-Governing Province Fire Headquarters)은 [[강원특별자치도 소방본부(2025-08-01)|강원특별자치도 소방본부]]의 최고 책임자로서 강원특별자치도 전역의 광역적 소방행정과 재난 대응 체계를 총괄 지휘하는 인물이다. 본부장은 관할 소속기관인 각 시·군의 소방서 및 [[강원특별자치도소방학교(2025-08-01)|강원특별자치도소방학교]]를 포함한 소속 소방기관 전체를 지휘·감독하며, 지역 내에서 발생하는 화재, 구조, 구급, 산불, 풍수해, 대형 복합재난, 화학물질 사고(CBRNE 포함) 등 모든 유형의 재난에 대해 통합적·전략적으로 대응하는 임무를 수행한다. 그는 도내 소방기관 전체의 인사·조직·작전·예산·장비·복무·교육 등에 대한 총괄 권한을 지닌 실질적 최고 지휘관으로서, 각 소방서장의 인사·복무를 포함해 모든 소방조직의 배치 및 운영에 대한 결정권을 가지고 있으며, 소방학교의 교과과정 및 교육계획 승인, 훈련 인력 배정, 장비·예산 조정 등도 직접 관장한다. 또한 강원도 내 주요 재난 발생 시 도지사와 긴밀히 협력하되, 재난현장에서는 각 소방서장을 지휘하는 상급 지휘본부장으로서 현장지휘권을 발동할 수 있으며, 유관기관과의 공조체계 조정 및 협업 대응 전략 수립도 그의 주요 역할에 포함된다. 예방 중심 정책 측면에서는 지역 특성에 맞춘 광역 화재 예방계획과 재난예방정책, 건축물 화재안전 사전검토, 위험물 안전관리 감독, 다중이용업소 점검 등 전방위적 감찰 및 기술감독 임무를 포함하며, 도 단위 예산의 편성 및 집행, 장비 보급 및 교체계획 수립, 정보통신시스템 운영, 감찰 및 청렴행정, 시민참여 기반 소방서비스 혁신까지 포괄한다. 특히 강원특별자치도의 경우 산악지형과 해안선이 혼재되어 있고, 기후 특성상 산불, 폭설, 수난사고 등의 복합 재난이 반복적으로 발생하는 구조적 특성이 있으므로, 본부장은 산악·해안 복합재난에 대한 기동형 대응역량을 강화하고, 광역 항공대·119특수구조단·드론운용팀 등 전문조직을 통합 지휘하며, ICT 기반의 통합지휘체계와 광역 재난분석 시스템을 정비하는 등 고차원의 전략 능력을 요구받는다. 본부장은 비록 도 단위 광역조직의 수장으로 보이지만, 실질적으로는 [[대한민국 소방청(2025-08-01)|소방청]]에서 임명하고 국가 예산으로 보수와 인건비가 지급되는 **국가직 소방공무원**으로서, 행정적으로는 도지사 소속이나 인사권과 재정운영의 핵심은 중앙정부에 귀속된, 이중적 행정체계를 조율하는 복합적 역할을 수행하는 고위 책임자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