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노트를 풍부하게 하는 '속성' [[Obsidian]]은 개발 초기부터 노트에 [[속성]]을 추가하여 [[자료|데이터]]를 관리할 수 있었다. 이 속성은 [[YAML]]이라는 형식을 이용하는데 비교적 단순한 문법으로 데이터를 표현할 수 있다. 아래는 [[거인의 노트]]에 포함된 속성의 예시이디. ```yaml 제목: 거인의 노트 작가: 김익한 출판사: 다산북스 주인공: 기록 장르: - 자기개발 url: https://ridibooks.com/books/4803002133?_s=search&_q=거인의+노트&_rdt_sid=search&_rdt_idx=0 선호도: 5 감상연도: - "2023" tags: - 자기개발 - 생산성 - 기록 - 인생책 ``` 이렇게 속성을 부여하면 노트의 내용을 훨씬 더 풍부하게 할 수 있다. 속성을 부여하면 [[DataView]]와 같은 [[Plugin|플러그인]]으로 자료를 검색하기도 훨씬 편하다. [[YAML]] 속성은 노트 파일의 맨 처음에 와야 하므로 이를 [[프론트매터]]라고 부르기도 한다. # 편리해진 속성 편집 ![[obsidian-property-giants-note.png]] 그런데 [[YAML]]을 직접 편집하려면 번거롭기도 하고 자칫 실수하면 문서 전체의 내용이 인식되지 않을 수도 있다. 무엇보다 [[YAML]]을 따로 익혀야 한다는 점은 처음 사용자에게 도전이 될 수 있다. 그래서 최근 [[Obsidian]]은 [[YAML]]을 익힐 필요 없이 간편하게 [[속성]]을 편집할 수 있는 기능을 도입했다. 이제 사용자들은 마치 표를 편집하듯이 쉽게 속성을 편집하고 내용을 확인할 수 있다. # 지식 정원에 들어온 속성 [[속성]]을 다루기 쉬워지면서 내 [[보관소]]에 들어 있는 노트들이 점점 더 다양한 속성을 품게 되었다. 그리고 이들 중 [[Andrea의 지식 정원]]에 게시한 노트들 역시 점점 더 다양한 속성을 갖게 되었다. > 그런데 [[Obsidian Publish]]에서는 기본적으로 속성을 표시하지 않는다. 처음에는 별로 불편하지 않다가 이제 점점 [[지식 정원]] 노트들의 소중한 속성을 표시하고 싶어서 자료를 찾아봤다. [[Obsidian Discord]] 에 질문을 해 보니 다음과 같은 답변을 받았다. [^1] `publish.css` 파일에 다음 내용을 추가하면 된단다. ```css .frontmatter.language-yaml { display: block !important; } ``` # publish.css 파일 생성과 게시 방법을 알았으니 이제는 행동이다! [[텍스트 편집기]]를 사용해서 `publish.css` 파일을 생선한 다음 이 파일을 [[보관소]]의 루트 폴더에 저장한다. 그런 다음 `publish.css` 파일을 게시하면 된다.[^2] 이제 [[Andrea의 지식 정원]]에 들어 있는 모든 노트는 [[속성]]이 들어있는 [[프론트매터]]를 표시한다. 물론 썩 예뻐보이지도 않고, 자칫 "Obsidian은 어렵다"는 선입견을 더 단단하게 만들 거 같아 걱정이지만, 일단 지금은 노트의 내용을 풍부하게 하는 [[자료|데이터]]를 표시하는 데에 만족하기로 한다. [^1]: [Discord's Dialog in Obsidian](https://discord.com/channels/686053708261228577/694233507500916796/1343070916950757387) [^2]: [Customize your site - Obsidian Help](https://help.obsidian.md/Obsidian+Publish/Customize+your+site#Static+asse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