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블록 참조
알아갈 수록 더 멋진 [[Obsidian]]. 그런데 [[Notion]]의 블록 개념을 굉장히 독특하게 가져와서 여기서는 월씬 편리하게 적용하고 있다.
일반적으로 `[[링크]]`와 갈이 다른 노트를 연결할 수 있지만 이렇게 하면 노트와 노트 끼리만 참조가 가능하다. 그러나 하나의 노트에는 여러 개의 문단, 목록, 그리고 개체가 있다. 이 각각의 개체를 바로 참조할 수 있는 방법이 있다!
Bryan Jenks의 [Comprehensive Overview | Obsidian Block References & Transclusion | Sorry Roam!](https://www.youtube.com/watch?v=PuOecKqUsRA)을 보면 진짜... 우와.. 소리가 절로 나온다.
# 블록이란?
[[Obsidian]]에서는 기본적으로 빈 칸으로 구분된 [[마크다운]] 문단 하나가 블록이다. 그리고 블록은 다른 문서에서 참조할 수 있다. ^block-is
예를 들어 **블록이란?** 제목에는 바로 위의 블록과 지금 이 블록, 모두 두 개의 블록이 있다. 이와 같이 마크다운에서 빈 칸으로 분리되어 완전한 문단의 꼴을 갖추어야 블록이 된다.
# 목록 항목
글머리 기호나 숫자로 표시되는 목록 항목은 각각히 하나의 블록으로 취급한다.
- 이것은 하나의 블록이고
- 이것도 또 하나의 블록이다.
위의 글머리 기호 목록은 두 개의 항목으로 되어 있으므로 두 개의 블록이다.
1. 이 친구도 당연히 하나의 블록이고
2. 또 요 친구도 엄연히 하나의 블록이다.
당연히 위의 숫자 목록도 두 개의 블록이다.
# 블록 참조 방법
블록을 참조하려면 `[[문서 이름#^블록ID]]`의 형식으로 참조해야 한다. ^5f075a
바로 [위의 블록]([[Obsidian의 블록 참조#^5f075a]])과 같이 참조하면 되는 것이다. 그러면 원래 참조하려는 블록에 자등오르 `^블록ID`의 형태로 [[블록 ID]]로 부여된다.
느낌표(!)를 사용하면 당연히 특정 블록의 내용을 포함할 수 있다.
![[#^block-is]]
이런 식으로 참조하면 된다.
# 알기 쉬운 블록 ID 단믈기
[[블록 ID]]는 [[Obsidian]]에서 자동으로 부여된다. 주로 무작위로 부여되는 [[십육진수]]를 사용하기 때문에 사람이 알아보기 어렵다.
블록 ID는 사용자가 변경할 수 있다. 다음의 규칙을 따르면 된다.
- 블록의 끝에 한 칸의 빈 칸을 두고 `^`를 붙인다.
- 블록 ID는 영문 소문자, 숫자, `-`를 포함할 수 있다. 빈 칸 등 다른 문자는 포함할 수 없다.
위에서 블록을 참조할 때 `^block-is`처럼 블록 ID를 바꾸어 주면 훨씬 알아보기 쉬운 이름을 사용할 수 있다. 다만, 블록 ID를 마음대로 고치면 안 되고 반드시 메뉴를 통해서 수정해야 한다. 그래야 참조된 모든 블록 ID를 [[Obsidian]]이 알아서 한꺼번에 착오 없이 수정해 주기 때문이다.
# 노트에 종속되는 블록 ID
[[Obsidian]]의 [[블록 ID]]는 노트에 종속된다.
![[블록#^block-is]]
위의 블록에도 `^block-is`라는 ID가 붙어 있다. 즉 서로 다른 노트에서라면 같은 블록 ID를 사용할 수 있다. [[Logseq]]의 경우 전체 [[그래프]]에서 유일한 값, 즉 [[UUID]] 여야 하는 것과 다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