Zettelkasten # 개요 [[Niklas Luhmenn]]에 의해 만들어진 기록 방법론. 프레임워크. [[상향식 글쓰기]]를 가능하게 만드는 프레임워크이다. 생각을 정리하고 발전시키며 최종 산출물을 낼 수 있게 하는 것이 목표이다. 작은 아이디어를 노트로 만들고 이를 연결하는 노트 체계로, '산출물을 낸다'는 뚜렷한 목표를 두고 글쓰기를 진행하는 방식이다. # 창시와 활용 독일의 [[Niklas Luhmenn]] 교수는 일생 동안 많은 논푼과 단행본을 출간하였다. 그의 기록물을 본 사람들은 $4 \times 6$의 인덱스 카드에 들어갈 만큼 작은 크기의 노트에 빼곡하게 작성된 아이디어와 이 노트들이 체계적으로 연결된 후 보관된 '서랍'들을 찾았다. 이 사ㄹ이 독일어로 Zettelkasten이라 불리며, 우리 말로는 '메모 상자' 정도로 번역되어 쓰인다. ### 노트의 분량을 작게 하는 건 생각들을 분리하고 다른 것과 연결하기 좋게 만든다. 전통적인 방법에서는 인덱스 카드의 번호와 보관 위치가 굉장히 중요하겠지만 디지털로 필기를 할 때는 **연결**이 훨씬 더 중요한 역할을 차지한다. 노트를 함께 연결하면 새로운 지평이 열린다. #보완 # 참고 자료 - [[Zettelkasten - 하루 메모 6장으로 혁신적인 아이디어를 만드는 방법]] # AI 검색 결과 ## 제텔카스텐이란? **제텔카스텐(Zettelkasten)**은 독일어로 "메모 상자"를 뜻하며, 독일의 사회학자 니클라스 루만(Niklas Luhmann)이 개발한 독특한 메모 및 지식 관리 시스템이다. 루만은 이 시스템을 통해 30년간 58권의 저서와 수백 편의 논문을 집필하며 놀라운 생산성을 보여주었다. 그는 제텔카스텐을 단순한 메모 보관함이 아니라, "또 다른 자아"이자 "대화 상대"로 여겼다[1][3][6]. ### 제텔카스텐의 핵심 원리 1. **원자적 메모(Atomic Notes)**: 하나의 메모에는 하나의 아이디어만 담는다. 이는 메모 간의 연결성을 높이고, 새로운 아이디어를 창출하는 데 도움을 준다[1][3]. 2. **메모 간 연결**: 메모들은 서로 유기적으로 연결되어야 한다. 이를 통해 기존 지식과 새로운 정보를 결합하여 창의적인 아이디어를 도출할 수 있다[1][3][6]. 3. **자신의 언어로 작성**: 메모는 자신의 언어로 작성해야 하며, 단순히 인용문을 옮겨 적는 것을 지양한다. 이는 정보를 더 깊이 이해하고 활용 가능성을 높이는 데 기여한다[3][6]. 4. **유형별 메모 관리**: - **임시 메모(Fleeting Notes)**: 순간적으로 떠오른 아이디어를 기록하며, 짧은 시간 내에 폐기된다. - **문헌 메모(Literature Notes)**: 책, 논문 등에서 얻은 정보를 요약한 메모. - **영구 메모(Permanent Notes)**: 영구적으로 보관하며, 다른 메모와 연결하여 지식의 네트워크를 형성한다[6]. ### 제텔카스텐의 구조와 활용 루만은 메모를 번호 체계로 관리하며, 각 메모를 고유하게 식별하고 연결했다. 예를 들어, 메모 "1/1"은 기본 아이디어를 담고, "1/1a"는 이를 확장한 내용을 포함하는 방식이다. 이러한 체계는 디지털 도구를 활용하여 더욱 효율적으로 구현할 수 있다[6]. 디지털 시대에는 옵시디언(Obsidian), 롬 리서치(Roam Research)와 같은 소프트웨어를 활용해 제텔카스텐을 구현할 수 있다. 이러한 도구들은 메모 간의 연결을 시각화하고, 검색 및 관리 기능을 제공하여 사용자의 생산성을 높인다[1][3][6]. ### 제텔카스텐의 장점 1. **지식의 체계적 관리**: 정보를 단순히 저장하는 것을 넘어, 이를 연결하고 재구성하여 새로운 통찰을 얻을 수 있다. 2. **창의성 증진**: 메모 간의 연결을 통해 기존에 없던 아이디어를 창출할 수 있다. 3. **생산성 향상**: 체계적인 메모 관리를 통해 글쓰기, 연구 등에서 높은 효율성을 발휘할 수 있다[1][3][6]. ### 제텔카스텐을 시작하는 방법 1. **도구 선택**: 디지털 도구(예: 옵시디언)나 아날로그 방식(카드와 상자)을 선택한다. 2. **메모 작성**: 하나의 메모에 하나의 아이디어를 담고, 자신의 언어로 작성한다. 3. **메모 연결**: 관련 메모를 서로 연결하여 지식의 네트워크를 구축한다. 4. **주기적 검토**: 메모를 정기적으로 검토하고, 필요에 따라 확장하거나 수정한다[1][3][6]. ### 결론 제텔카스텐은 단순한 메모 기법을 넘어, 지식을 체계적으로 관리하고 창의성을 극대화할 수 있는 강력한 도구이다. 이를 통해 학습, 연구, 글쓰기 등 다양한 분야에서 생산성을 높일 수 있다. 니클라스 루만의 사례처럼, 제텔카스텐은 개인의 지식 관리와 창의적 사고를 위한 훌륭한 방법론으로 자리 잡고 있다. [1] https://brunch.co.kr/@@1lhx/50 [2] https://zettelkasten.de/overview/ [3] https://blog.everglowing.net/2022/02/01/%EC%A0%9C%ED%85%94%EC%B9%B4%EC%8A%A4%ED%85%90-%EC%96%B4%EB%96%BB%EA%B2%8C-%EC%A7%80%EC%8B%9D%EC%9D%84-%EA%B8%B0%EB%A1%9D%ED%95%B4%EC%95%BC-%ED%95%98%EB%8A%94%EA%B0%80/ [4] https://zenkit.com/en/blog/a-beginners-guide-to-the-zettelkasten-method/ [5] https://blog.naver.com/550sn/223274425618?viewType=pc [6] https://www.atlassian.com/blog/productivity/zettelkasten-method [7] https://myeongjae.kim/blog/2022/01/20/writing-an-article-of-writing-zettelkasten-tutorial-by-zettelkasten [8] https://www.goodnotes.com/blog/zettelkasten-method [9] https://www.zklab.kr/a3342eb6-20a9-4aa3-9524-8b8a8470ba35 [10] https://zettelkasten.de/introduction/ [11] https://brunch.co.kr/@kys4620/234 [12] https://www.reddit.com/r/Zettelkasten/comments/11pmn55/how_to_handle_facts_in_your_zettelkasten/ [13] https://newslettervezaki.substack.com/p/579 [14] https://mikepaul.com/2023/05/02/enter-the-zettelkasten-note-taking-making-and-organizing/ [15] https://baek.dev/post/44/ [16] https://en.wikipedia.org/wiki/Zettelkasten [17] https://www.clien.net/service/board/lecture/18844263 [18] https://www.meetjamie.ai/blog/zettelkasten [19] https://m.yes24.com/Goods/Detail/121507746 [20] https://medium.com/swlh/how-the-zettelkasten-radically-changed-my-way-of-creating-content-and-how-it-will-change-yours-baa23904f034